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 2025/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미래를 향한 도구는 무엇.

자유게시판 | 2019. 5. 30. 15:54 | Posted by 최정규 대표
반응형
작년 한 해 지역사회 기부단체로
조금 더 성장한 교육앤미디어는
교육부로부터 인증서 한장을 받았습니다.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서인데요.
향후 3년간 유지되며 활동을 전개합니다.
마음은 뿌듯하고. 어깨는 조금 더
무거워졌네요.

 

 

 


내용을 살짝 엿보면...

진로교육법 제19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9조에 따라
우수한 교육기부진로체험 체제를 구축하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 체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행복한 삶과
경제 사회 발전에 기여하였기에
교육기부 진로체험 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기관으로 인증합니다.


이런 내용인데요.
인증 받고나니 교육기부에 대한
자부심도 생기고
지역사회에 작게나마 재능을 기부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음에 감사할 뿐입니다.


다윗은 작은 물멧돌을 도구로 사용하여
하나님께서 큰 일을 행하셨는데
우리 교육앤미디어를 통해서는
어떤 일을 하시기 원하시는지
늘 묻고 방향을 잡아가고 있답니다.

 


작은 향토강소기업으로 성장하도록
응원 많이 해주시고 격려도 부탁드립니다.


지난 3주간 모교인 금산중앙초등학교 4학년 3개반 총 9차시 재능기부를 통해 작은 실천을 했답니다.
도움주신 각반 담임선생님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남은 2019년 하반기에도 재능기부
수업을 원하시는 학교 또는
교육기관에서는
교육부 재능기부싸이트 꿈길
Http://www.ggoomgil.go.kr 을 통해
교육기부처 : 교육앤미디어 로
많은 신청 바랍니다.

 

 

저희 기관에서는 교육기부 분야를 다음과 같이 정했습니다.

- 영상제작 3차시(무성영화더빙, 키네마스터 익히기 등)

- 코딩교육 3차시(피지컬 : 비트브릭, EQ두이노 등)

- 영상기획하기 3차시

- 스토리텔링 과정 3차시(인물, 캐릭터, 플롯 이해 등)

- 게임중독예방교육 3차시

- VR체험(구글 안경) 3차시

- 3D펜으로 (만들어보기) 체험 3차시

 

:

우리의 삶은 많이 닮아있다.

자유게시판 | 2018. 11. 8. 07:55 | Posted by 최정규 대표
반응형
2018 네이버 첫 포스팅
우리의 삶은 많이 닮아있다.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junggyuchoi/221392781816

우리의 삶은 많이 닮아 있다.

http://blog.naver.com/junggyuchoi/221392781816
:

은행잎과 목화솜

자유게시판 | 2018. 11. 2. 15:52 | Posted by 최정규 대표
반응형
올 가을은 유난히 짧게 느껴진다.
찜통더위가 끝난지 얼마 안된것 같은데 벌써 첫 서리가 내렸다고 한다.

오늘 학교에서 쉬는시간에 교정을
거닐었다. 


은행잎이 많이 떨어져있었고
뒷 마당 주차장 화단엔 목화가 터져 목화솜이 땅에 떨어지는 광경을 지켜보았다.

어렸을 때 목화를 보며 신기해 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하다.

오랫만에 터지는 목화솜이 옛 추억으로 나를 데려다 놓은 듯.
:

[음력 사고방식] 윤달이라는게 있다.

문화활동 | 2018. 8. 12. 17:21 | Posted by 최정규 대표
반응형
[음력 사고방식]

윤달이라는게 있다.
음력 날짜인데 그 날이 달력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런셈이다.
1972년 음력 7월 30일이 내생일인데
어렸을적 한동안 음력 7월 29일을 생일로 따졌던 기억이다.

음력을 표시해주는 달력을보니
73년, 74년엔 음력생일이 없고 75년에 음력생일이 있다.
76년, 77년엔 음력생일이 없고 78년에 음력생일이 있다.
79년, 80년, 81년, 82년, 83년 에는 생일이 없고
84년에 음력생일이 있다.

이러다보니 결혼전에는 아예 음력 7월 29일을 생일로 정해서 챙겨주신 것 같다.


기억이 두개(?)인데  음력 8월 1일이 아버지 생신이라서 결국 그 전 날을 생일로 했던 적도 있다. 물론 어른 생신이 다음날이니 내 생일과 아버지 생일을 그냥 묶어서 촛불을 끈 적도 있는 것 같다.

요즘 어머님께 여쭤보니 그렇게 하지않았다고 하시니 내 기억이 잘못 되었을 수도 있겠다. 어쩌면 어쩌다 한번 그런적이 있는데 어린 마음에 서운해서 확대기억을 했을수도 있을법하다.

장성하여 결혼 한 이후
아내와 아이들에게 양력 7월 30일이
내 생일이 되었다.
양력으로 따지니 어렵지 않다.

그래서 나는 생일이 매년 한번 돌아온다.^-^
(사진은 아내선물 샌들과 막내아들선물 핸들커버이다.)



요즘 SNS를 하다보면 각 채널(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등)마다 생일체크가 다른 것을 볼수 있다.

그래서 생일축하 글과 댓글을 많게는 3~4번 받을 때도 있다. 번거롭고 민망하고 가끔은 기분좋을때도 있는 이러한 생일 플랫폼은 당분간은 계속될듯 하다.
아직까지는 우리나라 정서상 음력생일을 중시하기 때문은 아닐지 생각해본다.

:
반응형

만지고 배우고 만드는 코딩수업 비트브릭 창의융합 금산코딩센터(교육앤미디어)에서는

6월 29일(금) 무더위 속에
옥천군 노인 장애인 복지관에서
코딩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코딩교육이란 컴퓨팅적사고와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것인데
실버 계층에 접목. 적용하여 두뇌계발과 소근육 발달이라고 하는 목표를 가지고 진행 중에 있습니다.

오늘시연회를 시작으로 7월~8월 시범운용을 거쳐
본격적인 개강은 9월 7일(금)입니다.
문의. 043.730.2621(옥천노인장애인복지관)
  010.8838.3472 (교육앤미디어 최정규대표)

코딩교육이 자라나는 학생들이 주 타깃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것은 교육앤미디어에서 추진하는 매우 획기적이며 좋은 사례라 생각됩니다.

교육 방법은 관찰하기>생각하기>계획하기>해결하기. 단계적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습니다.

참여하신 분들의 반응은 치매예방에도 좋고 100세 시대에 앞으로도 3~40년은 더 살아가야 할  미래사회에 대비할 수 있어 좋다는 이야기를 하십니다.

본 사업은 교육앤미디어의 재능기부로 이루어지며 옥천노인장애인복지관 주최로 기획되었습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
[금산 학생동아리 소개]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도움닫기센터 '마루'의 영상제작 동아리를 소개합니다.

충남 금산군 금산읍 남산 소재 금산문화의집(운영위원장 박상헌)에서는
청소년들의 꿈과 끼를 키워줄 방과후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주 화요일 저녁 7시가 되면
문화의 집에는 뮤직비디오 촬영이 한창입니다.

총 10여명의 영상제작반이 구성되었는데
학생들이 기획하고 구성하고 촬영하고 편집.배포까지 하게됩니다. 역할분담을 통한 이번 작품은 음악에 맞추어 안무를 구성하고 뮤직비디오에 나오는 인물들의 댄스를 따라해보는 것인데 그 열기가 대단합니다.

청소년 시기에 필요한 창의적인 생각과 협응력, 배려와 인내를 배우고 창작물 작업을 통해 성장하는 우리 친구들을 응원해주시고 기대해주세요.

~ 교육앤미디어 프로그램 소개

:

2018 가족 사진 (재미있는)

카테고리 없음 | 2018. 5. 7. 00:22 | Posted by 최정규 대표
반응형
오늘은 예배 후 사랑하는 아이들과 가정의달 특집
금산읍 투어를 해보았다.


해마다 엽기적인 가족 사진을 찍어 올리는데
올해는 코인노래방과 커피숍에서 스마트폰에 빠져보기 미션이다.


총비용 : 12,500원

코인 노래방 : 1,500원
눈꽃빙수 : 8,500원,   아메리카노 : 2,500원


평상시에 가보지 않는. 해보지 않는 일들을 해보는건데 가족들이 함께 경험하는 데에 의미부여가 된다.

물론 교육적인 측면보다는 가족간의 재미있는
단합의  표현인 셈이다.


노래방에서의 노래실력 순위는 내가 꼴찌.
앞으로 연습을 더 많이 해야겠다. ^-^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을 하며 아이들에게 게임을 배워보았다. 난 노래도 게임도 잼뱅이다.

:

교육앤미디어 Brand Identity

사업영역 | 2018. 1. 24. 08:25 | Posted by 최정규 대표
반응형
2018년 두번째 공부(?)를 하고 있다.
정혜엽 대표님의 이노트레이닝 프로그램.

#교육앤미디어 의 Brand Identity 를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고 있다.

[프로그램 요약]
▶제목 : 『Brand Identity』 내 회사의 핵심가치 어떻게 만들 것인가
▶강사 : 정해엽(커너스그룹 대표)
▶일시 : 2018년 1월 23일 (화) 15:00 ~
▶장소 : #대덕테크비즈센터(TBC) 1층 이노스타트업

기업가치<>매출가치
전략(#사랑방-, #역기획, #유저이미지, #어깨동무, #밀폐폭발, #플랫폼, #확장성 등)
협력, 성장, 스타트업, 스토리, 트레이닝

교육앤미디어는 소중한 가치에 집중하는 한해가 되길 소원해본다.

'사업영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브릭 #코딩센터 #금산점 오픈했습니다.  (0) 2018.03.04
사업영역 알려드립니다.  (0) 2015.12.16
:

칠백의용 뮤지컬 공연 열연 중

문화활동 | 2017. 10. 8. 22:19 | Posted by 최정규 대표
반응형

금산문화의집 회원과 지역주민의 수고로
칠백의용 뮤지컬이 성황리에 공연되고 있습니다. 

 

저는 일본 6대장 고바야카와  단역으로서.


먼저 지도해주신 박팔영 총감독님 직접 분장도 해주시고 배우들로 만들어주심 감사드리고, 배건호 음악감독님, 손아선 조연출님, 신종교 회장님,

 

모든스텝과 보이지않게 뒷바라지 해주시는 분들. (특히 현수(두철이)와 들(순년이)이 수고 많았다.) 모든 단원들께 감사인사 드립니다.

 


2017년 8월 22일 오후 9시 30분 금산문화의집 앞 특설무대에서 쇼케이스 공연

2017년 10월 5일 오후 4시 2017금산세계인삼엑스포장 주무대에서 본 공연

2017년 10월 21일 토요일 오후 4시 칠백의총 광장에서 공연이 펼쳐집니다.

 

#극단 #비단뫼 의 도약일거라는 확신이 드네요.

 

축제의 성패는 축제에 참여하는 모든 분들 모두가 얼마나 행복감을 느낄수 있나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금산의 새로운 신선한 바람이 되리라 믿습니다.
금산문화의집 화이팅!!♡♡~~

 

사진 몇 장 올립니다.

:
반응형
- 참나인성연구소와 교육앤미디어, 금산군가족통합지원센터 연합으로 1일미디어나눔터 개최 -

뜨거운 삼복더위 속.
금산군가족통합지원센터(센터장 김귀동)에서는 8월 5일(토) 1일 미디어나눔터를 금산군청소년미래센터 및 교육의 거리에서 약 30여명의 학생과 학부모가 참여한 가운데 실시하였다.

이번 1일 미디어나눔터를 개최하기 위해 금산군가족통합지원센터는 참나인성연구소(소장 한숙희)와 교육앤미디어(대표 최정규)와의 컨소시엄을 체결하고 시청자미디어재단 공모에 선정되어 상반기동안 좋은 반응 속에 사업을 진행하였다.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금산군가족통합지원센터 박선자 팀장은 이 번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참여와 가족단위의 미디어 체험 실습으로 역동적인 즐거움을 통해 가족이 통합되는 의미깊은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당부의 인사를 전했다.

오리엔테이션에서 참나인성연구소 한숙희 소장은 인사말을 통해 "3기관의 좋은 프로그램을 잘 경험하고 서로 협력하고 화합하는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진로에 대해 생각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를 실천할 수 있는 학생들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번 미디어나눔터 전체운영을 맡은 교육앤미디어 최정규 대표는 “배우는 미디어, 즐기는 미디어가 개인을 성장시키고 사회를 통합시키는데 역할을 할 것이며, 더욱 좋은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다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미디어 나눔터에 참여한 학생들은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동영상을 기획, 촬영, 편집을 하였으며 독서지도와 포토죤 운영 등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하루 동안 가족 간의 사랑을 더욱 굳건히 하는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특히 금산 교육의 거리에 있는 조형물들을 탐방하는 시간에는 가족과 함께 우리나라에 있는 대학교에 대한 이야기와 진로, 진학에 대한 이야기를 가족사진을 찍으면서 자연스럽게 할 수 있었다.

다채로운 미디어 경험을 하고 진로를 인식하고 탐색하는 이 번 프로그램은 사업에 참여한 여러 사업단체 간의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하여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을 펼쳐나가길 기대해본다.

: